사이즈는 보통 마우스 장 패드 사이즈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Grover
작성일22-08-05 10:37
조회99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나가 PRO 마우스처럼 사이드 부분을 고무 혹은 플라스틱 중 원하는 재질으로 자석을 이용해 마음대로 탈부착이 가능했으면 정말 혁신적이지 않았을까요? 현재 품절대란을 일으키고 있는 G Pro Superlight 제품, 가성비의 끝판왕 PC방 국민 마우스인 G102, 최고 가성비의 무선 마우스 G304 등 다양한 인기있는 마우스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최고의 인기를 자랑했던 마우스는 바로 G502 마우스입니다. 이는 동글 판매와 관련된 정책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로지텍은 플래그쉽 제품인 G PRO X SUPERLIGHT에도 야박함을 고수하고 있다. 자신이 자주 플레이하는 게임이나 프로그램에 맞게 세팅해서 사용하면 조금 더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겉면을 보면 친환경 소재를 이용해 박스를 감싸주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쓸데없는 정보를 최대한 빼서, 박스를 심플하게 만들었습니다. 제품의 첫 인상입니다. 기본적으로 박스를 열자마자 마우스 본체 및 무선 충전 독이 들어있습니다. Zowie, SteelSeries 및 Logitech의 세 제조업체가 통계를 지배합니다. 이는 많은 제조업체가 시장에 다른 모델을 가지고 있고 그 중 일부는 서로 약간만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 외의 상세 스펙입니다. 총 5가지의 바실리스크 시리즈가 존재하며, 그 중 최상위 제품이 바로 레이저 바실리스크 얼티메이트 제품입니다. 딱 그 뿐이었습니다. FPS게임을 즐겨 하는 유저분들이면 모르겠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이런 무게차이가 의미없다고 생각합니다.
가격차이가 1만원밖에 안하는 지금 가격으로썬, 확실히 바실리스크 얼티메이트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G502 무선을 구매하는 것 보다 더욱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바실리스크 얼티메이트 마우스는 비대칭형의 오른손잡이 전용 마우스입니다. 레이저의 바실리스크 마우스와 로지텍의 G502 마우스는 배다른 쌍둥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비슷한 디자인을 지니고 있습니다. 글로리어스 오딘 마우스 MODEL I 게이밍 마우스는 타공 하우징을 베이스로 경량형 마우스를 주로 출시해왔던 라인업의 특징에 버튼을 교체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조합하여 완성도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Wii 채널'(일본어: Wiiチャンネル)은 위에 내장되어 있거나 추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통틀어 말한다. 이 계약에 따라, 게임 개발사들이 직접 돌비와 계약을 맺지 않고도 Wii 본체를 통해 서라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레이저마우스가 플라스틱 마우스패드와 그리 잘 맞지가 않았습니다. 이 사이즈가 평소 겜방 같은데 가면 쓰는 장패드 사이즈 입니다. 사이즈가 사이즈다보니 박스도 큽니다. 다만 오른손잡이가 아닌 왼손잡이는 이러한 오른손잡이에 특화되어있는 비대칭형 마우스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만 무게가 조금 무거워, 가벼운 마우스를 선호하시는 분 들이라면 약간은 무게때문에 불편할 수 있겠습니다. 솔직히 107g의 꽤나 무거운 마우스를 쓰다가 74g의 가벼운 마우스를 쓰면 확실히 무게가 확실히 가볍다는건 체감은 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무거운 무게의 마우스를 사용해도 딱히 거리낌없이 잘 사용하는 편이어서 그런지.. 저는 보다시피 팜 그립을 사용하는 편입니다. 캐릭터 모티프나 고급감 넘치는 일러스트들이 등 자신의 마음에 드는 마우스 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도 어색할 것 같습니다. 디자인을 분석하는 시간이었는데 이야기가 딴 길로 샌 것 같습니다. 일에 사용한다면 심플한 무지의 것이 추천입니다만, 게임 플레이를 즐기면 게임 캐릭터가 그려진 마우스 패드 등, 좋아하는 디자인을 선택합시다. 또한 합성수지 재질인 만큼 음료수등으로 오염되어도 물티슈로 한번 딱아주면 깨끗해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바실리스크 얼티메이트 마우스 디자인의 가장 특이한 점인 LED 역시 빼먹을 수는 없겠죠? 하지만 레이저 바실리스크 얼티메이트 게이밍 마우스의 경우에는, LED를 자신이 원하는대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LED의 품질 역시 굉장히 고급스럽기 때문에.. 마우스에 사용되는 고무 그립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플라스틱에 비해 훨씬 내구도가 낮아 마모되기 쉽습니다. 만약 마우스를 쥘 때 팜 그립이 아닌 다른 그립으로 마우스를 쥐는 경우에는, G502와 레이저 바실리스크 마우스 구매를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A에 해당하는 팜 그립에 특화된 마우스가 바로 G502와 레이저 바실리스크 마우스입니다. 거의 동일한 셸의 G502 마우스가 121g, G502 Speedlight 마우스가 114g씩이나 되는 걸 감안한다면, 같은 셸을 이용한 마우스 중에는 가장 가볍습니다. 무선인 점을 제외하면 바실리스크 V2 제품과 바실리스크 얼티메이트와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제 손은 큰 편도 아니고 작은 편도 아닌 중간 사이즈에 속하는데, 마우스의 크기가 커 불편하겠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니 손에 꽉 차는 느낌을 받아 굉장히 편하게 사용했습니다.
천연고무를 사용했다고해서 그런지 석유화학제품의 톡쏘는 냄새는 아닌 것 같지만, 며칠 지나고 나서야 냄새가 없어지더군요. 역시 로지텍의 G 시리즈는 실망시키는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애초에 셸과 기능 자체가 무거울 수 밖에 없게 설계되었기때문에, 107g의 무게는 생각해보면 나쁘지는 않은 무게인 것 같습니다. 마우스의 종류에는 왼손, 오른손 상관없이 마우스를 잡을 수 있는 대칭형과, 그렇지 않은 비대칭형으로 나뉘게 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셸은 G502와 굉장히 흡사한 셸 형태로, 엄지 부분에 엄지손가락을 파지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팜 그립이 강요됩니다. 개인적으로 Qck나 G640을 써왔던 탓인지 몰라도 G-SR은 너무 뻑뻑하다는 느낌이 들어 화면 전환이 빠른 게임을 할 때는 불편함이 느껴졌다. 기본적으로 G502와 매우 유사한 기능(스나이퍼 트리거, 쉘, 사이드 고무 그립 등)은 있었지만, 디자인이 확실히 G502와 비교하면 게이밍 마우스라는 느낌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마우스였습니다. 기존 바실리스크의 디자인과 비교하면 훨씬 더 G502와 가깝게 게이밍스러운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로지텍의 G502에 대항하기 위해 G502의 각종 기능들을 모두 때려박아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이러한 G502 제품에 대항하기 위해 2017년, 레이저에서 바실리스크 시리즈를 만들었습니다.
더보기 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